안녕하세요. 경제 공부방입니다.
배당금을 통한 지속적인 현금 흐름은 누구나 생각해 봤을 법 한데요. 대출 이자도 배당금으로 내고, 월세도 배당금으로 내는 생각을 합니다.
그런데 특정 금액을 받으려면 얼마가 필요하고, 몇 % 상품에 투자해야 하는지? 이런 것들이 궁금해서 직접 정리해봤습니다.
세후 월 50, 100, 200만원을 받기 위해 배당률 1~9% 기준으로 원금 얼마가 필요한지 확인해보겠습니다.
(세전)월 170만원이 넘으면 안되는 이유? 금융소득 종합과세
먼저, 금융소득 종합과세에 대해 이해해야 합니다. 금융소득(이자 및 배당 소득)이 연간 2,000만원을 초과할 경우, 초과분은 다른 소득과 합산하여 종합과세가 됩니다. 따라서, 배당 소득을 (세전) 월 170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추가 과세를 생각하지 않아도 됩니다.
*물론, 직장이 없거나 소득이 적은 경우 2000만원을 초과하는 배당금이 과세표준에 포함 되더라도 기납세액이 15% 이므로 추가 세금이 없습니다. (즉 원천 7천 ~ 8천) 수준이면 추가로 금액을 더 낼 확률이 높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보기 편한 금액 위주로 고려하다 보니 세후 50, 100, 200으로 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일반적인 범위에서 받을 수 있는 수익률
현재 배당주는 크게 매력적이진 않습니다. 미국은 금리가 5.5%, 한국은 3.5% 이므로 무위험 수익률이 꽤 높은 편입니다.
하지만 배당주 투자는 원금이 상승할 수도, 하락할 수도 있기에 리스크가 있는 투자 개념으로 생각하면 좋을것 같습니다.
배당주의 경우 4% 이상이 넘어가면 주가를 깎아 지급하거나, 기업은 괜찮지만 일시적으로 주가가 떨어져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최근 스타벅스 배당률은 3%까지 올라갔었습니다)
그 외에도 커버드콜 상품들이 있습니다. (미국 배당 다우존스 +7%, +10% 배당) 요런 제품들을 말합니다.
그럼 얼마가 필요할까요?
세후 배당금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세율을 고려해야 합니다. 현재 미국 배당소득세율은 15%입니다. 세금을 고려해 원금은 얼마가 필요한지 알아보겠습니다.
배당률 1% ~ 3% 투자원금 및 배당금
배당률 | 1% | 2% | 3% |
---|---|---|---|
세후 월 50만원 | 7억 1151만원 | 3억 5755만원 | 2억 3750만원 |
세후 월 100만원 | 14억 2302만원 | 7억 1510만원 | 4억 7500만원 |
세후 월 200만원 | 28억 4604만원 | 14억 3020만원 | 9억 5000만원 |
- 1% 배당률:
- 월 50만원: 세후 50만원을 받기 위해서는 세전 59만 2925원이 필요합니다.
- 연 배당금: 59만 2925원 x 12 = 711만 5100원
- 투자원금: 711만 5100원 / 0.01 = 7억 1151만원
- 2% 배당률:
- 월 50만원: 세후 50만원을 받기 위해서는 세전 59만 2925원이 필요합니다.
- 연 배당금: 59만 2925원 x 12 = 711만 5100원
- 투자원금: 711만 5100원 / 0.02 = 3억 5755만원
- 3% 배당률:
- 월 50만원: 세후 50만원을 받기 위해서는 세전 59만 2925원이 필요합니다.
- 연 배당금: 59만 2925원 x 12 = 711만 5100원
- 투자원금: 711만 5100원 / 0.03 = 2억 3750만원
배당률 4% ~ 6% 투자원금 및 배당금
배당률 | 4% | 5% | 6% |
---|---|---|---|
세후 월 50만원 | 1억 7787만원 | 1억 4230만원 | 1억 1851만원 |
세후 월 100만원 | 3억 5575만원 | 2억 8460만원 | 2억 3702만원 |
세후 월 200만원 | 7억 1150만원 | 5억 6920만원 | 4억 7404만원 |
- 4% 배당률:
- 월 50만원: 세후 50만원을 받기 위해서는 세전 59만 2925원이 필요합니다.
- 연 배당금: 59만 2925원 x 12 = 711만 5100원
- 투자원금: 711만 5100원 / 0.04 = 1억 7787만원
- 5% 배당률:
- 월 50만원: 세후 50만원을 받기 위해서는 세전 59만 2925원이 필요합니다.
- 연 배당금: 59만 2925원 x 12 = 711만 5100원
- 투자원금: 711만 5100원 / 0.05 = 1억 4230만원
- 6% 배당률:
- 월 50만원: 세후 50만원을 받기 위해서는 세전 59만 2925원이 필요합니다.
- 연 배당금: 59만 2925원 x 12 = 711만 5100원
- 투자원금: 711만 5100원 / 0.06 = 1억 1851만원
배당률 7% ~ 9% 투자원금 및 배당금
배당률 | 7% | 8% | 9% |
---|---|---|---|
세후 월 50만원 | 1억 160만원 | 8889만원 | 7906만원 |
세후 월 100만원 | 2억 3200만원 | 1억 7778만원 | 1억 5811만원 |
세후 월 200만원 | 4억 6400만원 | 3억 5556만원 | 3억 1622만원 |
- 7% 배당률:
- 월 50만원: 세후 50만원을 받기 위해서는 세전 59만 2925원이 필요합니다.
- 연 배당금: 59만 2925원 x 12 = 711만 5100원
- 투자원금: 711만 5100원 / 0.07 = 1억 160만원
- 8% 배당률:
- 월 50만원: 세후 50만원을 받기 위해서는 세전 59만 2925원이 필요합니다.
- 연 배당금: 59만 2925원 x 12 = 711만 5100원
- 투자원금: 711만 5100원 / 0.08 = 8889만원
- 9% 배당률:
- 월 50만원: 세후 50만원을 받기 위해서는 세전 59만 2925원이 필요합니다.
- 연 배당금: 59만 2925원 x 12 = 711만 5100원
- 투자원금: 711만 5100원 / 0.09 = 7906만원
종목은 뭐가 있을까?
배당을 높게 준다고 무조건 좋은것이 아닙니다. 배당주 구매 전 가장 중요한 것은 최소 10년 이상 계속 지급했는지? 계속 배당금이 증액되었는지? 기업이 돈을 잘 버는지? 등을 고려해봐야 합니다.
개별주에는 코카콜라, 펩시, 스타벅스, 맥도날드 등 다양한 소비재가 있습니다. 이런 부분들은 직접 찾는것이 편하지만 관리가 어렵다면 ETF도 좋은 선택지입니다.
아래는 제가 직접 검색해본 배당금을 증가시키면서 성장도 함께 했던 ETF 입니다.
참고로 배당률이 3%가 넘으면 뭔가 리스크가 있다는 것을 아셨으면 좋겠습니다.
1% ~ 3% 배당률
- Vanguard Dividend Appreciation ETF (VIG)
- VIG는 배당 성장을 보이는 기업에 투자하며 최소 10년 동안 꾸준히 배당금을 증가시켜 왔습니다.
- 배당률: 약 1.6%
- SPDR S&P Dividend ETF (SDY)
- S&P 1500 지수 내에서 최소 20년 연속 배당금을 증가시킨 기업에 투자합니다.
- 배당률: 약 2.5%
- Schwab U.S. Dividend Equity ETF (SCHD)
- SCHD는 다우존스 미국 배당 100 지수의 총 수익률을 추종합니다. 최소 5년 이상 배당금을 지속적으로 지급해오고 배당금 상승이 있었습니다.
- 배당률: 약 3.4%
이 이상의 주식이나 ETF는 커버드콜 상품이 위주라 자신있게 소개하긴 어렵습니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토스증권 웹에서 검색이 가능합니다. (https://tossinvest.com/ )
원하는 주식을 직접 찾아보면 좋을것 같습니다. 아래는 예시입니다.
마무리
총 배당금이 세전 2천이 넘을 경우 고민할 것들이 조금 더 생깁니다. 회사를 다니고 있을땐 월 50만원의 추가 현금 흐름만 있어도 괜찮겠다고 생각했습니다.
배당주 투자가 무조건 좋은것 처럼 느껴지지만, 배당이 끊길수도, 배당금이 깎일수도 있으므로 주가와 배당이 같이 성장하는 주식을 찾아보는게 좋아보입니다.
원금 계산이 도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4.01.20 - [경제] - JEPQ 1000만원 넣으면 얼마? 수익모델은? SCHD와 비교해보기
JEPQ 1000만원 넣으면 얼마? 수익모델은? SCHD와 비교해보기
안녕하세요! 지난번엔 JEPI에 대해서 알아봤는데, 이번에는 JEPI의 차기작 느낌인 JEPQ를 알아보겠습니다. JEPQ는 JEPI보다 늦게 나왔고 똑같이 JP Morgan에서 운영합니다. JEPQ는 돈을 어떻게 버는지? 그
self-study-health.tistory.com
2024.03.26 - [정보] - [한국판 SCHD] 국내 미국배당 다우존스 ETF 완벽 비교 (수수료 함정 조심하세요)
[한국판 SCHD] 국내 미국배당 다우존스 ETF 완벽 비교 (수수료 함정 조심하세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국내에 상장되어 있는 한국판 SCHD라고도 불리는 미국배당 다우존스 ETF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실제로 보이는 수수료와 숨겨진 수수료의 차이가 꽤 큽니다. 결론부터 말
self-study-health.tistory.com
2024.01.16 - [경제] - SCHD vs SPY(VOO) 어디에 투자하는게 더 좋을까? 과거의 기록으로 살펴보기
SCHD vs SPY(VOO) 어디에 투자하는게 더 좋을까? 과거의 기록으로 살펴보기
안녕하세요. 항상 유튜브에서 의견이 갈리는 주제라 고민되긴 하지만 직접 계산해보는게 더 좋을것 같아서 글로 남깁니다. 많은 사람들이 정통 배당 ETF인 SCHD와 S&P 추종 ETF인 SPY or VOO 중 어떤것
self-study-health.tistory.com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비디아 25년 2분기 실적 발표 일정 및 주요 뉴스 알아보기 (0) | 2024.07.20 |
---|---|
[실제 사례] 주식 물타기 하는 방법, SOXL로 알아보는 현실적인 팁 3분만에 알아가기 (개별주식, 레버리지 ETF, MDD 물타기) (2) | 2024.06.29 |
[미국주식] 델 테크놀로지 어떤 회사일까? 엔비디아, 머스크의 xAI, AI PC로 성장할 수 있을까? (0) | 2024.06.23 |
[애플] 아이폰 시리에 챗GPT 장착, 그런데 호환되는 기기의 상태가?? (0) | 2024.06.23 |
[미국주식] 시총 1위 엔비디아 닷컴 버블의 시스코와 비교하는게 맞을까? 엔비디아의 불안한 점 (0) | 2024.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