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경제 공부방 입니다.
오늘은 주식 물타기(평단가 낮추기) 방법을 알아보려 합니다. 저도 물타기 하는 방법들을 많이 찾아봤지만, 너무 비현실적인 이야기들이 많았습니다. 눌림목에서 반등 포인트로 가는 지점에 사라. 이런 글은 왜쓰는걸까요? 저점에 사서 고점에 팔아라랑 뭐가 다를까요?
저는 고점과 저점은 절대 맞출 수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제 사례를 통해서 공유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눌림목에서 반등할때 물타라고? 사기좀 치지 맙시다
물타기 기법들이나 강의라고 파는 것들을 보면 눌림목에 사라고 합니다.
아래 사진을 보면 밑줄친 타이밍에 샀어야 한다고 합니다. 반등하니까요.
우선 계속 떨어지는 상황에서 반등이라고 어떻게 확신할 수 있습니까? 잠깐 오르는 것이라면요?
수만가지 주식에서 자기들 입맛에 맞는 케이스를 들고와서 사기를 칩니다.
위 주식의 시계열이 조금 더 늘어났습니다.
이미 당신에게 물타기를 하라고 가르치던 사기꾼은 도망가고 없습니다.
반등포인트였나요? 번지대였습니다. 즉 저점은 누구도 알 수 없고, 살 수 없습니다.
레버리지 ETF 물타기, MDD 활용하기 (ex: SOXL, TQQQ, QLD, USD ...)
이 물타기의 전제는 나는 절대 시장의 고점과 저점을 잡을 수 없다는 가정입니다.
MDD란 (Maximum DrawDown)으로 고점 대비 최대 낙폭입니다.
저는 이걸 이용해서 최대 n% 까지 떨어질 수 있으니, 분할매수를 얼마에 하겠다 이런것을 구체적으로 정하는 방식을 택했습니다.
SOXL로 먼저 예시를 들어보곘습니다.
내가 산 시점은 닷컴버블 시작 전날의 최고점 일 수 있다.
레버리지 ETF를 살 때 가정은 항상 위와 같이 합니다.
SOXL의 최대 낙폭은 87% 입니다. 정말 아주 특수한 케이스이긴 하지만, 저는 당장 내일도 닷컴버블이 올 수 있다고 생각하며 구매했습니다.
제가 42달러에 구매해도 어느날 6달러 까지 갈 수 있음을 인지하고 투자를 시작했습니다.
실제로 제가 샀던 시점에 구매 가격 대비 -50%정도 떨어졌지만 (3차매수 근처까지 갔습니다) 아직 4번이나 더 타면 된다. 라는 생각떄문에 그렇게 충격이 크진 않았습니다.
의미있게 평단가를 낮추려면 현재 구매한 주식수보다 같거나 더 많이 타야합니다.
내가 가지고 있는 금액을 기준으로, 앞으로 어떻게 살 것인지 생각해보는게 좋습니다. 저는 8차 매수까지 1700만원 정도 쓸 수 있겠다 생각했습니다.
다음 매수에 기존 수량의 2배를 구매하는 방식은 돈이 많이 들고, 여러번에 걸쳐 분할매수 하기 어렵습니다.
다음 매수에 기존 수량의 2배 구매
1차 매수 -> 10주
2차 매수 -> 20주
3차 매수 -> 60주
4차 매수 -> 180주
5차 매수 -> 540주
다음 매수에 기존 수량의 1배 구매
1차 매수 -> 10주
2차 매수 -> 10주
3차 매수 -> 20주
4차 매수 -> 40주
5차 매수 -> 80주
6차 매수 -> 160주
[실제 사례] SOXL 구매 인증
위의 표 대로 1차, 2차, 3차 구매를 했습니다.
3차 매수는 29달러 부근에서 사야 했지만, 30.50이 SOXL의 가장 저점이었습니다. (일부를 구매하고 29달러에서 추가 수량 128주를 맟추려고 했습니다)
저만의 기준으로 기계적 매수를 했을때 우연히 저점이 나왔었습니다.
이렇게 물을 타서 평단가는 53달러에서 39달러 수준까지 낮췄습니다.
엑셀 표에 적혀있는 대로 3차 매수가 완료되면 38.25달러 정도의 평단을 예상했었고, 실제로도 유사했습니다.
결국 저는 5월에 +20%의 수익으로 판매했습니다. 그냥 둬도 괜찮지만, 다른 주식을 사기 위해서 매도했습니다.
MDD 물타기의 장점
하루종일 차트를 보고 있을 필요가 없습니다.
내가 원하는 가격은 이미 정해져있고, 그 가격을 걸어두고 자면 됩니다. 하루만에 10% 변동성도 나오는 레버리지 ETF는 오르다가도 갑자기 내리꽂는게 일상입니다.
그리고 이미 최대 낙폭을 알고 있고 올인하지 않았기에 떨어져도 아직 괜찮다는 생각이 듭니다.
장기적 우상향은 있을거라는 믿음으로 돈을 넣었기 때문에 기다릴 수 있게 됩니다.
MDD 물타기의 단점
3차 매수가가 29달러였지만, 결국 최저점은 30달러였던 것 처럼 아쉽게 매수를 못할 수 있습니다.
이럴때 좀 아쉬운것 같습니다. 하지만 뇌동매매를 하다가 말도 안되는 가격에 여러번 구매하는것 보단 낫다고 생각합니다.
유의할 점
저는 급등주 같은곳엔 물타기 하지 않습니다. 지수ETF나 우량주(시총 100조 이상)에만 물타기를 하는 편입니다.
마무리
물타기 방법을 찾다보니 사기꾼들이 너무 많아서 직접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이상한 주식 강의 이런것들 절대 듣지 마세요. 진짜 강의할만큼 잘하는 사람들은 증권가에서 수천억의 연봉을 받으며 생활하고 있습니다.
10만원, 20만원 강의를 만들고 있지 않습니다. 책을 추천드립니다. 피터린치, 찰리멍거, 벤저민 그레이엄 등 유명한 투자자들이 많습니다.
저 책들엔 투자 기법들이 들어있지 않습니다. 모두 하는말이 같습니다. 구매 후 가만히 있어라. 사고팔고를 최대한 적게 해라. 잘 모르면 시장지수에 투자하라.
은퇴 자금이나 앞으로 현금 흐름이 없는 경우에는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주제는 물타기지만 결국 분할매수를 하란 뜻입니다.
제발.. 진심입니다. 자산 분배 및 분할 매수를 통해서 잃지 않는 투자 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같이 보면 재미있는 글 추천 (주식 손절, 리밸런싱)
2024.08.10 - [정보] - 주식 손절 복구 비용 확인하기 (왜 손절 타이밍은 -20% 이전에 하는 것이 좋을까?)
주식 손절 복구 비용 확인하기 (왜 손절 타이밍은 -20% 이전에 하는 것이 좋을까?)
안녕하세요. 경제공부방 입니다. 오늘은 주식에서 손해가 생겼을때 원금을 복구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수익이 필요한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손절은 하고싶어서 하는것이 아닙니다. 주식의 우
self-study-health.tistory.com
2024.08.07 - [정보] - 미국 주식 폭락에 이성적으로 대처하는 방법 (주식 중계하는 전문가 찾지 마세요)
미국 주식 폭락에 이성적으로 대처하는 방법 (주식 중계하는 전문가 찾지 마세요)
안녕하세요. 경제공부방 입니다. 최근 원인을 알 수 없는 폭락이 있었죠. 코스피, 코스닥 사이드카, 서킷브레이커 발동 등 이 사실들은 이미 아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나스닥도 장 초반 -6%까지
self-study-health.tistory.com
2023.12.25 - [경제] - 자산분배, 리밸런싱 주식하다 한번에 망하지 않는 방법
자산분배, 리밸런싱 주식하다 한번에 망하지 않는 방법
안녕하세요. 오늘 주제는 자산분배와 리밸런싱 입니다. 두 단어가 어떻게 다른지 이번 기회에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주식을 하다가 주식이 바닥으로 내려가는 경우 한번에 재산을 잃을 수 있습
self-study-health.tistory.com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크로소프트 24년 4분기 실적 발표 일정 및 주요 뉴스 알아보기 (0) | 2024.07.20 |
---|---|
엔비디아 25년 2분기 실적 발표 일정 및 주요 뉴스 알아보기 (0) | 2024.07.20 |
배당금 세후 월 50만원, 100만원, 200만원 받으려면 원금은 얼마가 필요할까? 어떤걸 사야할까? (1) | 2024.06.24 |
[미국주식] 델 테크놀로지 어떤 회사일까? 엔비디아, 머스크의 xAI, AI PC로 성장할 수 있을까? (0) | 2024.06.23 |
[애플] 아이폰 시리에 챗GPT 장착, 그런데 호환되는 기기의 상태가?? (0) | 2024.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