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미국주식] 시총 1위 엔비디아 닷컴 버블의 시스코와 비교하는게 맞을까? 엔비디아의 불안한 점

by 경제 공부방 2024. 6. 22.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공부방입니다.

 

최근 약간의 조정이 있긴 했지만 엔비디아.. 굉장히 많이 올랐죠?

 

시총 1위까지 달성했는데요. 슬슬 많이 오르니 무작정 욕 하는 사람들이 생기는것 같습니다.

 

닷컴 버블과 비교하며 새로운 AI 버블이다. 엔비디아도 곧 폭락할 것이라는 기우제식 댓글들이 많은데요.

 

폭락이 올 수도 있겠죠. 하지만 가격이 올라서 떨어질거다. 라는 주장은 터무니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과거 닷컴 버블과 어떤 점이 유사하고, 어떤점이 다르기에 닷컴 버블과 비교하긴 어려운지 확인해보겠습니다.

 

물론 엔비디아도 약간 불안한 점이 있습니다. 그 부분도 생각을 마지막에 남겨보도록 하겠습니다.

 

닷컴 버블이란?

닷컴 버블(Dot-com Bubble)은 1990년대 후반에서 2000년대 초반에 걸쳐 인터넷 기반 회사들의 주가가 급격히 상승하고, 이후 급격히 붕괴한 사건을 말합니다.

 

이 시기 동안 많은 인터넷 기업들이 과대평가되었으며, 실질적인 수익이나 견고한 사업 모델 없이도 높은 주가를 기록했습니다. 결국 2000년 3월을 기점으로 거품이 터지면서 많은 기업들이 파산하거나 주가가 폭락했습니다.

 

대표적인 예시가 시스코 시스템즈 (CISCO) 입니다.

 

시스코 시스템즈

 

시스코 시스템즈(Cisco Systems)는 네트워크 장비와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세계적인 기업으로, 인터넷의 보급과 함께 급격한 성장을 이룩했습니다. 시스코는 닷컴 버블 당시 가장 주목받는 기술 기업 중 하나였으며, 인터넷 인프라의 핵심 역할을 담당했습니다.

 

시스코 시스템즈는 24년이 지난 지금도 고점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급등 시기

차트에서도 볼 수 있듯 닷컴 버블 시기에 급격히 상승했습니다. 2000년 3월, 시스코의 주가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시가총액이 약 5550억 달러에 도달했습니다. 이는 당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시가총액 중 하나로, 시스코는 기술 주식 붐의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당시 시가총액 1등까지도 기록했습니다.

 

급락 시기

 

그러나 2000년 3월 이후 닷컴 버블이 터지면서 시스코의 주가는 급격히 하락하기 시작했습니다. 주가는 2001년 4월 기준 13달러까지 떨어지며 80% 이상 급락했습니다.

 

왜 빠졌을까?

과도한 기대

그 당시 투자자들은 인터넷 관련 기업들이 빠르게 성장하고 큰 수익을 낼 것이라는 과도한 기대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기대는 실제 기업의 수익성과는 무관하게 주가를 급격히 상승시켰습니다.

 

실질적 수익의 부족

많은 인터넷 기업들은 실질적인 수익을 내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이들은 주로 매출보다는 사용자 수와 성장 가능성에 기반한 평가를 받았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 방식은 지속 가능하지 않았습니다.

 

실제 매출은 어땠을까?

2000년도 매출을 cisco press release에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 당시 eps는 $0.39 였고, 주가는 최대 80불 까지 갔었습니다. 즉 PER가 200이 넘었습니다. 즉 200년은 지나야 투자금이 회수되는 수준이었습니다. 참고로 카카오 최고가 당시 PER이 200이 넘었습니다. (동일한 전철을 밟고 있네요)

 

2200년도까지 투자해야 하는데, 비정상적인 가격이었습니다.

 

또한 2001년엔 적자가 나면서 무너지는 속도가 가속화 됩니다.

 

사람들이 잘못 알고 있는 사실

당시 저금리로 인해 투자가 몰렸다?

저금리로 인해 투기적으로 몰렸다고 하지만 사실이 아닙니다. 2000년도 금리는 6.5%였고, 닷컴 버블이 터지면서 금리를 낮춘 것입니다.

 

현재보다 금리가 더 높았던 시절이었고 저금리로 인한 높은 유동성은 아니었습니다.

 

광기에 가까웠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그래서 엔비디아는?

엔비디아도 차트만 보면 당시 시스코처럼 급격한 상승을 보이고 있는건 맞습니다. 대한민국 투자 1등 주식인만큼 광기도 있죠.

 

몇년 사이에 3~4배 이상이 올랐기 때문인데요.

 

 

매출 및 PER

현재 엔비디아의 PER은 74입니다. Forward PER은 48 입니다. 시스코도 그 당시 매출이 잘 나왔다고 하지만 객관적 수치로는 비교가 안되는 것이 맞습니다. 지금 분할 가격 기준으로 250달러는 되어야 할 것 같네요.

 

현재는 시장의 예측을 매번 뛰어넘는 매출을 내고 있고 엄청난 마진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현재 빅테크에서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등에서 GPU를 수십조 이상 2025, 2026년까지도 구매 예정이라고 말했기에 적자가 갑자기 나진 않을것 같습니다.

 

엔비디아도 시총 1위를 하기엔 매출이 아쉽다

PER 200이 아니라 괜찮은거 아닌가요?  그건 아닙니다. 74도 충분히 높은 수치이고 48도 꽤나 높은 수치인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PER의 문제가 아닌, 일단 매출이 기존 빅테크 (마소, 애플)등에 비하면 너무 적습니다.

 

엔비디아의 2024.4 매출 및 순이익은 $260억, $148억 수준입니다.

 

 

 

 

그에 비해 폭락 소리를 듣는 APPLE이 $900억 매출에 $230억 순수익입니다. (정말 안좋게 나온 결과입니다)

하지만 이 기준으로도 매출은 3.5배수준, 순이익도 1.8배 수준입니다.

 

APPLE 수익

 

 

마이크로소프트 또한 $600억 매출에 $210억 순이익입니다. 즉 엔비디아에 비해 2배 이상의 매출, 1.5배 이상의 순이익입니다.

 

 

 

객관적 지표로 봤을때 시가총액 1위를 하기엔 무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저 또한 엔비디아에 투자 중이지만 기대감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미 나온 "블랙웰" 이외에 "루빈" 같은 GPU 들이 압도적 성과를 내주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냉정하게 이정도 수준의 매출이라면 시총 1,2위를 차지하더라도 금방 떨어질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엔비디아가 GPU 장사만으로 돌파구를 찾지 않고 GPU Cloud Computing System 을 통해서도 매출을 내려고 시도 중입니다.

 

B2B 외에도 B2C를 통한 매출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마무리

맹목적 믿음은 좋지 않지만 객관적 자료로 봤을때 닷컴 버블의 시스코와 엔비디아는 비교하기 어렵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물론 시가총액 1위를 할 만큼 높은 이익을 내고 있는것도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앞으로의 전망이 괜찮아 보이기에 판매할 시기는 아니라고 느꼈습니다.

 

닷컴버블의 시스코는 카카오, 네이버와 비교하는게 맞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높은 매출 이후 적자, 200 PER, 주가 폭락 까지 비슷한 점이 많은것 같습니다.

 

시가총액 1위를 하다보니 무작정 주식을 욕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객관적 근거로 살지 팔지를 판단했으면 좋겠습니다.

 

저 또한 주식과 사랑에 빠지지 않고 회사의 전망이 좋지 않으면 바로 매도할 생각입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4.01.25 - [경제] - NVIDIA 주식 폭등 이유 알아보기, 무슨 회사길래? 2024년에도 지속될까?

 

NVIDIA 주식 폭등 이유 알아보기, 무슨 회사길래? 2024년에도 지속될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NVIDIA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2024년 1월 말 기준 끝이 없는 상승중입니다. 1월 초에 조금 떨어질때 샀었어야 했는데... 이제는 조정 온다 너무 고점이다. 600달러가 곧이

self-study-health.tistory.com

 

2024.06.16 - [경제/투자 일지] - [주식 투자 실수 후기] 네이버 주식에서 천만원 잃고 배운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

 

[주식 투자 실수 후기] 네이버 주식에서 천만원 잃고 배운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가 주식 투자를 하며 낸 교육비를 바탕으로 슬픈 경험담을 전해드리고자 합니다.주식 투자는 많은 사람들에게 경제적 자유를 꿈꾸게 하지만, 그만큼 위험도 따르는 법입

self-study-health.tistory.com

 

2024.03.10 - [경제] - [국내주식] 절대 이렇게 하지 마세요. 카카오 초고점매수 저점매도 손절 후기

 

[국내주식] 절대 이렇게 하지 마세요. 카카오 초고점매수 저점매도 손절 후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국내주식을 하지 않게된 제 경험을 하나 말씀드려볼까 합니다. 80만원 잃었습니다.. 라고 생각하고 싶습니다. 물을 타고 탄 가격이었습니다.   대기업은 절대 망하지 않는

self-study-health.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