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TF5 가구당 월 평균 소득은 얼마일까? 근로소득이 안오르면 어떻게 할까? 통계청 자료로 확인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조금 마음 쓰린 이야기입니다. 통계청에서 2023년 4분기 가계동향을 발표했습니다. 지난 분기에 비해 평균적으로 소득이 얼마나 올랐고, 평균 이상의 가구들은 돈을 어떻게 증식시키고 있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가구당 평균 소득은 502만원이다.가구원수는 2.28인 기준입니다. 처음에는 아무리 그래도 너무 높은것이 아닌가? 생각했습니다. 모든 집이 맞벌이만 하는것도 아니고, 한명만 일하는 경우도 있을텐데, 과하다 싶었습니다. 하지만 결과를 보니 근로소득 외에 사업소득, 재산소득 등을 포함한 금액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봐야할것은 금액이 아닙니다. 바로 우측에 있는 + 입니다. 근로소득은 나와 옆집 뽀삐 모두 오르지 않는다.근로소득 100만원, 1000만원에 관계 없이 모든 소득분위의 근로소득.. 2024. 3. 29. 워렌버핏의 440만% 수익률의 비밀 (연평균 20% 수익) 잃지 않는것의 중요성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4년에 발표된 주주서한 자료를 통해서 워렌버핏의 수익률과 어떻게 그 수익률을 달성할 수 있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글에서 얻어가면 좋은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워렌버핏의 명언 "절대 돈을 잃지 않는다"의 중요성2. 연 수익률 8% 또한 엄청나게 대단한 성과다. 워렌버핏의 수익률 살펴보기좌측은 버크셔헤서웨이, 우측은 S&P 500의 수익률 입니다. "()"로 되어있는 부분은 잃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주주서한의 자료를 보면 1964년부터 2023년까지의 총 수익률은 440만%에 달합니다. 하지만 충격적인 내용은 이정도가 연 복리 수익률 19.8%라는 뜻입니다. 유튜브를 보면 연 수익률 100%, 200% 같은 이런 터무니없는 글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왜 그들은 버핏처럼 되지.. 2024. 3. 18. ETF가 망하면 어떻게 될까? 증권사, 운용사가 파산한다면? 어떤 ETF를 사야할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투자자 분들이 많이 궁금해 할 내용을 준비했습니다. 현재 투자중인 ETF가 망하거나(청산), 증권사, 운용사가 망하면 어떻게 될까요? 모든 주식이나 돈은 날아갈까요? 그렇다면 어떤 ETF를 사야 할까요? 정말 다행히도 그렇지 않습니다. 주식은 날아가지 않고, ETF의 경우 ETF에 담긴 주식들의 가치에 맞게 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즉 개별 주식이 "상장 폐지" 되지 않는다면 그 외의 요인에서는 문제 없습니다. 물론 고려해야 할 점은 있지만, 그 부분은 아래 간략하게 적겠습니다.ETF가 청산되는 경우일반적으로 ETF의 가격이 0원이 되는 경우는 매우 드뭅니다. 그 전에 해당 ETF를 폐지하기 때문인데요. 일반적으로 ETF는 수익률이 개별 주식에 비해 낮기때문에 운용자산이 매우 .. 2024. 2. 19. JEPQ 1000만원 넣으면 얼마? 수익모델은? SCHD와 비교해보기 안녕하세요! 지난번엔 JEPI에 대해서 알아봤는데, 이번에는 JEPI의 차기작 느낌인 JEPQ를 알아보겠습니다. JEPQ는 JEPI보다 늦게 나왔고 똑같이 JP Morgan에서 운영합니다. JEPQ는 돈을 어떻게 버는지? 그래서 1000만원어치 사면 얼마를 주는지? SCHD랑 비교하면 어떤게 더 이득인지? 요런 내용들을 간략하게 설명 드리겠습니다. JEPQ는 나스닥이다.JEPQ는 JEPI와 비슷하게 분배금을 위해 커버드콜 전략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추종하는 지수가 S&P 500이 아닌 Nasdaq 100을 추종합니다. 따라서 JEPI와 JEPQ는 판매하는 콜옵션도 다르므로 분배금도 다를 수 밖에 없습니다. JEPQ도 저변동성을 추구한다 JP Morgan 공식 홈페이지에 있는 내용입니다. 분배금이 10%.. 2024. 1. 20. JEPI 1000만원 넣으면 얼마? 수익모델은 무엇일까? 안녕하세요. 높은 배당수익률(2023년 기준 8%), 월배당 장점을 가진 JEPI ETF에 대해서 분석해보겠습니다. 1000만원, 5000만원, 1억을 넣었을때 세후 얼마를 받는지? 돈은 어떻게 벌어오는지?에 대해서 보겠습니다. 현금 흐름이 필요한 분들에게 좋은 ETF라고 할 수 있습니다. 커버드콜의 특성상 주가가 갑자기 치솟기는 어려운 구조이지만, 횡보장에 굉장히 좋은 ETF라고 할 수 있습니다. JEPI는 낮은 변동성을 추구한다JEPI는 불안전하다, 고배당이라 코인처럼 가격이 변한다. 이렇게 알고 계신분들이 많습니다. 저 또한 조사하기 전에는 그렇게 알았습니다. 하지만 JP Morgan의 홈페이지를 가보면 JEPI에 대한 설명은 이렇게 시작합니다. "낮은 변동성과 함께 꾸준한 소득을 추구합니다" 변동.. 2024. 1. 1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