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제가 주식 투자를 하며 낸 교육비를 바탕으로 슬픈 경험담을 전해드리고자 합니다.
주식 투자는 많은 사람들에게 경제적 자유를 꿈꾸게 하지만, 그만큼 위험도 따르는 법입니다. 특히 국내 주식 시장에서 대기업 주식을 매수할 때도 신중함이 필요하다는 것을 이번 경험을 통해 뼈저리게 느꼈습니다.
인증
네이버, 카카오는 절대 안망한다
저는 몇 년 전, 최대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NAVER)의 주식을 천만원 어치 매수했습니다.
당연히 살 때 PER이나 수익을 보진 않았고, 코로나로 인한 IT 호황이라 한참 주가가 오르고 있을때 였습니다.
네이버 정도면 쇼핑, 웹툰, 검색 등 다양한 분야에서 TOP 이었기 때문에 의심할 여지가 없었습니다.
처음에는 주식이 조금 올랐고 실제로 당연하다고 생각했습니다.
하락장이 찾아오다
모든 주식이 그렇듯 하락장은 찾아 옵니다.
어느날 IT 대기업 규제를 한다며 뉴스에 나오기 시작하더니 주가가 폭락했습니다.
갑자기 뉴스에서 IT 기업을 규제한다고 할 줄은 상상도 못했습니다. 기업이 이상해져서 떨어지는게 아니라 더 충격이 컸습니다.
주가는 점점 떨어졌고, 잠시 일시적인 하락이라 생각하고 버텼습니다. (이때 카카오도 같이 물려 있었습니다) 그런데 2022년부터 급격하게 떨어지는 구간이 찾아왔습니다.
손실을 만회하기 무작정 물을 타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전략은 생각만큼 효과적이지 않았습니다. 주가는 계속해서 하락하거나 회복의 기미를 보이지 않았고, 손실은 줄어들지 않았습니다. 결국 저는 더 큰 손실을 안게 되었습니다.
깨닫게 된 점
첫째, 대기업 주식이라고 해서 항상 안전한 투자가 아니라는 점입니다. 네이버처럼 강력한 브랜드와 시장 지위를 가진 기업도 외부 요인이나 산업의 변화로 인해 주가가 크게 하락할 수 있습니다.
둘째, 손실을 만회하기 위한 무작정 물타기는 더 큰 손실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감정적으로 대응하기보다는 냉철한 분석과 전략이 필요합니다.
실제로 2021년 순이익은 16조로 역사에 남을 엄청난 이익을 냈습니다. 그런데 2022년.. 순이익 6700억으로 거의 회사가 망했나? 싶을 정도로 하락을 했습니다. 하지만 그 시절에는 이런 내용들을 전혀 보지 않았던것 같습니다.
이 회사가 돈을 벌어오고 있는가? 지난 해보다 성장했는가? 이런 관점에서 접근해야 했는데, 대기업이 떨어지면 다시 오르겠지 라는 말도 안되는 믿음만 있었습니다.
마지막으로, 분산 투자를 하지 않았습니다.
찰리멍거나 피터린치의 투자책을 읽다보면 최소 4 ~ 6개 이상의 주식을 샀을때 변동성은 크게 줄고 수익은 크게 줄지 않는 다는 표가 있습니다. 4개 미만일 경우 변동성과 수익률도 크게 요동치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왜 분산투자를 해야 하는 것인지, 다른 섹터도 찾아보고 했어야 했는데 이런 점이 아쉽습니다.
결론
그래도 이런 경험을 통해서 분산 투자의 중요성과 회사의 실적 및 미래를 보고 투자하는 습관이 생겼습니다.
현재 네이버의 PER는 20도 되지 않지만, 앞으로 어떤 사업을 해서 더 나은 수익을 낼까?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기회비용을 고려했을때 물을 타지 않고 해외로 넘어가기로 했습니다.
국내 주식 시장에서 대기업의 주식을 매수하더라도 항상 안전한 투자는 아니며, 손실을 줄이기 위한 전략이 항상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주식 투자는 철저한 분석과 계획, 그리고 리스크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투자자 분들도 주식 투자를 하실 때, 저의 경험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4.03.10 - [경제] - [국내주식] 절대 이렇게 하지 마세요. 카카오 초고점매수 저점매도 손절 후기
[국내주식] 절대 이렇게 하지 마세요. 카카오 초고점매수 저점매도 손절 후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국내주식을 하지 않게된 제 경험을 하나 말씀드려볼까 합니다. 80만원 잃었습니다.. 라고 생각하고 싶습니다. 물을 타고 탄 가격이었습니다. 대기업은 절대 망하지 않는다는
self-study-health.tistory.com
2024.06.09 - [경제] - 은퇴 자금을 낭비하지 않는 투자, 적립식 분할 매수 DCA(Dollor-Cost Averaging) 장,단점 빠르게 알아보기
은퇴 자금을 낭비하지 않는 투자, 적립식 분할 매수 DCA(Dollor-Cost Averaging) 장,단점 빠르게 알아보
안녕하세요. 경제공부방 입니다. 오늘은 분할 매수 기법으로 잘 알려진 DCA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처음에 주식을 시작했을때 이런 개념이 없어서 한번에 매수했다 큰 봉변을 본 적
self-study-health.tistory.com
2024.03.20 - [경제] - 예금은 자고 일어나면 돈이 사라집니다. 투자를 "반드시" 해야하는 이유
예금은 자고 일어나면 돈이 사라집니다. 투자를 "반드시" 해야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오늘은 투자를 반드시 해야하는 이유에 대해서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개별 주식 추천은 "절대" 하지 않습니다. 단, 잘 알려져 있고 저 또한 따라하는 방법은 공유드릴 수 있습니다.
self-study-health.tistory.com
'경제 > 투자 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Y ETF 양도세 절세 테스트 후기 (추천하지 않는 객관적인 이유) (9) | 2024.11.14 |
---|---|
[미국 주식 투자 일지] CONY ETF 양도소득세 절세 테스트를 위해 CONY를 구매했습니다. (2) | 2024.08.11 |
엔비디아 수익률이 반년 만에 100%를 넘었지만 주식을 가려두는 이유 (2) | 2024.06.09 |
[2024.03][인증] 인덱스 ETF 꾸준 매수 투자 (1) | 2024.04.05 |
[2024.02][인증] 인덱스 ETF 꾸준 매수 투자 (17) | 2024.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