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 한국시간 기준으로 2.13일에 소비자 물가지수 CPI가 발표되었습니다.
예측치보다 7% 가량 높게 나왔는데요. 이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 경제가 어떻고.. 이런건 관심이 없습니다. 그래서 이게 주가와 금리에 영향을 어떻게 주는지가 관심사 입니다.
소비자물가지수 (CPI)란?
CPI가 낮을수록 좋대. 보다는 간단하게 어떤 정의인지 알고 가면 좋을것 같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CPI)는 교통, 음식, 의료 서비스와 같은 소비자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 평균치를 조사하는 지표입니다.
미국 노동부에 의해 매월 발표되는 CPI는 경제 내 인플레이션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CPI의 변동률로 인플레이션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통화정책을 결정할때 큰 역할을 하므로 아주 중요한 지표라고 볼 수 있습니다.
CPI가 예상치보다 오르면?
금리
CPI는 연준의 금리 결정에 좋은 정보를 제공합니다. 예상보다 높은 CPI는 기업의 차입 비용을 증가시켜 이익이 떨어지게 됩니다. 결국 이익의 하락은 주가 하락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인플레이션이 진행중인데 금리를 낮추게 되면 오히려 상황은 심각해지므로 금리 인하는 시행하기 어렵다고 볼 수 있습니다.
소비자 지출
CPI 상승은 가격 상승을 나타내고, 소비자 구매력이 줄어듭니다. 결국 기업 수익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고 주식 성과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투자 관점
오늘 CPI 발표 전 달러 값이 떨어지고, 판매가 많아지면서 현금화 흐름이 늘어난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CPI 발표 직후 달러 값이 순식간에 20달러 정도 치솟았습니다. 주가가 많이 하락하면서 급하게 구매하려는 사람이 많았던 것으로 추측됩니다.
CPI가 예상치보다 떨어진다면?
위와 달리 낮은 CPI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억제되고 있음을 나타내므로, 연준이 더 완화적인 입장을 취할 수 있습니다.
즉 금리 인하를 더욱 더 적극적으로 고려하게 되고 주식시장에 빠르게 반영될 확률이 높습니다.
이자가 낮아지면 대출이 늘고 화폐 발행량이 늘면서 주식시장에 돈이 많이 흘러오기 때문입니다. 이때 주가도 상승하게 됩니다.
따라서 금리 인하를 많은 주주분들이 외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나스닥, 다우존스, S&P 일제히 하락
예상보다 높게 나온 CPI에 의해 2024.2.14 03:30 기준 모든 주가 지표들이 하락하고 있습니다.
금리 인하는 멀었네. 라고 생각이 들것입니다.
앞으로 가져갈 전략 생각해보기
프리장에서 주식의 매도세가 강한것을 보면서 큰 물이 들어오기 전 물이 빠지는 모습과 비슷하다고 느꼈습니다. 달러가격도 괜찮게 떨어졌다가 다시 치솟게 되었습니다.
CPI 예측은 말그대로 예측이므로, 항상 규칙에 의해 움직여야 이런 상황에 동요되지 않고 추가 매수 또는 판매를 할 수 있겠다 생각했습니다.
여기서 다시 느낀것은 규칙에 의해서 매수, 매도를 하는게 맞다고 느꼈습니다.
달러는 얼마 이하면 구매하겠다. -> 구매
현금 n%는 항상 들고있겠다. -> 아무리 사고싶은 주식이 있어도 가지고 있기
다른주식 추매를 위해 현재 주식 판매하지 않기.
오늘 주식 폭락을 보며 추가 매수를 하려고 했습니다. 하지만 환전을 하기에는 너무 달러가 비싸고, JEPI, JEPQ가 생각보다 다른 주식에 비해 변동성이 적어서 이걸 팔고 구매할뻔 했습니다. (후회할 선택을 할 뻔 했습니다..)
마무리
CPI가 몇이래, 근원 CPI가 몇이래. 이런 내용들은 저도 잘 모릅니다.
하지만.. 저는 주식을 하고 있기 때문에, 예상 CPI보다 실제 CPI가 낮을 경우, 높을 경우 주가가 어떻게 되는지 이해하고 있습니다.
글을 읽으시는 독자분들도 CPI 발표는 큰 이벤트라고 생각하시고, 미리 전략을 짜두셨으면 합니다.
만약 CPI가 예상보다 낮게 나왔다면, 치솟아버린 주가에 미리 사둘걸.. 하고 후회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예상보다 높게 나왔다면 폭락하는 가격에 다행이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신 분들은 아래 하트모양 한번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3월 JEPI, JEPQ 배당금 발표. 분기 리뷰, 앞으로의 전망 및 포트폴리오 확인하기 (17) | 2024.03.05 |
---|---|
ETF가 망하면 어떻게 될까? 증권사, 운용사가 파산한다면? 어떤 ETF를 사야할까 (14) | 2024.02.19 |
[2024년 최신] 미국 주식, ETF의 과거 데이터 테스트 해보기 (포트폴리오 백테스팅 사이트 활용법) 초보자도 할 수 있다! (15) | 2024.02.10 |
[미장] 미국주식 수익률 달러 vs 원화 어떤것을 봐야할까? 정답은 있습니다. (26) | 2024.02.09 |
[세후 월 500] 비근로소득으로 번다면 얼마가 필요할까? 부동산 투자, 배당금 투자로 확인해보기. 통계청 데이터로 확인하기 (일반 직장인 기준) (2) | 2024.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