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실만한 내용입니다.
미국주식을 하면 항상 고민하게 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달러 수익률과 원화 수익률이 다른것인데요.
이때 어떤것을 보고 매매해야 하는지 잘 모르는 분들이 많습니다. 큰 돈일수록 차이가 더 큽니다.
우선 정답부터 말씀드리면 달러를 봐야합니다.
달러가 왜 더 중요한지 잘 모르면 돈을 잃고 양도세를 내는 말도 안되는 상황이 나올 수 있습니다.
어떤 부분에서 달러가 중요한지 알려드리고, 원화를 봐도 되는 순간도 알려드리겠습니다.
우리는 환전을 바로 하지 않는다
가장 간단한 예시로 확인하겠습니다.
실제 저의 계좌 중 일부입니다. 현재 원화로 훨씬 수익이 많습니다. 이때 판매 후 바로 환전한다면 약간의 이득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매도 후 다른 주식을 새롭게 구매하는 것이지 바로 환전하지 않습니다.
또한 주의해야 할 점은, 일반적으로 미국주식의 경우 오후 11시 30분에 개장하므로 환율 우대시간이 아닙니다. 다음날 환전한다고 하더라도 환율이 변동되어 있습니다.
재투자의 관점에서 달러의 수익률을 보는게 맞습니다.
심지어 제 계좌에서 달러가 (-10$) 로 나오더라도 구매 당시 환율의 차이로 인해 원화는 +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러면 원화는 +로 나오지만 달러를 잃게 됩니다.
위의 문장이 이해가 어려우실 수 있습니다. 다음 내용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구매 당시 환율(기준 환율)의 함정
토스 어플에서 환전 탭을 보면 그날의 기준 환율이 있습니다. 이 환율을 확인해야 합니다. 이 금액이 그날 주식을 구매할때 가격의 기준이 되기 때문입니다.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1월 1일
기준 환율 : 1,333.50원
구매 수량 : 5주
달러 : 100$
원화 : 666,750
1월 3일
기준 환율 : 1350원
달러 : 99$ (-1$)
원화 : 668,250 (+0.2%)
위와같이 달러는 떨어졌지만 원화는 상승한 것처럼 보입니다.
따라서 저 시점에 판매하게 된다면 실제 달러가 줄어들게 됩니다. 환전을 하더라도 환율 우대 타이밍이 아니라 돈을 더 잃게 됩니다.
양도소득세는 원화를 기준으로 낸다
위의 예시처럼 원화는 +로 찍혀있지만, 달러는 -로 된 경우가 많습니다.
차익 실현을 한다고 여러번 판매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원화 : +260만원
달러 : -150$
재투자를 위해 판매했지만, 달러는 잃고 양도소득세는 10만원의 22%인 2.2만원을 내야합니다.
이런 경우가 나올 수 있기때문에 반드시 달러가 +일때 팔아야 합니다.
그러면 원화는 -고 달러가 +면 좋은건가요? 네. 좋다고 생각합니다.
구매 당시 기준 환율도 고려하자
저는 달러를 잃고도 원화가 +로 찍히는것을 보고 구매 당시 기준 환율도 고려하기로 했습니다.
양도소득세 계산시에 굉장히 유리해지기 때문입니다.
예시로 현재 특정 주식의 경우는 기준 환율이 높을때 구매했기에 아래와 같은 상황입니다. (현재는 구매당시 기준 환율보다 가격이 떨어졌습니다)
원화 : +100만원
달러 : +900$ ( 약 117만원 )
이 경우에는 비과세 한도 250만원을 채우기 위해 판매했을때 달러를 훨씬 많이 얻을 수 있습니다.
원화를 봐도 되는 상황
다음과 같은 상황이 아니라면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바로 환전을 할 예정, 환율 우대를 고려해도 현금이 이득, 양도소득세를 고려하지 않고 올해 주식은 그만 할 예정인 경우"
마무리
판매 후 재투자를 가정한다면 반드시 달러 수익률을 보는게 맞습니다.
원화가 달러보다 높게 찍혀있으면 원화가 판매 시점에 양도소득세에 계산이 되기때문에 되돌릴 수 없습니다.
하지만 달러가 높을경우 달러가 오를때까지 기다릴 수 있기때문에 조금 더 비싸게 팔 수 있습니다. 즉 주도권은 달러에게 있으므로 무조건 달러가 높은게 좋습니다.
이미 원화가 높은데 어떻게 하죠? -> 달러가 +일때 파시고 앞으로는 기준 환율도 고려해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절대 달러가 -일때 팔지 마세요"
이상입니다. 꼭 실천하시고 양도세의 비과세 한도를 아름답게 채우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되셨으면 아래 좋아요 한번 부탁드리겠습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2024.08.10 - [정보] - 주식 손절 복구 비용 확인하기 (왜 손절 타이밍은 -20% 이전에 하는 것이 좋을까?)
주식 손절 복구 비용 확인하기 (왜 손절 타이밍은 -20% 이전에 하는 것이 좋을까?)
안녕하세요. 경제공부방 입니다. 오늘은 주식에서 손해가 생겼을때 원금을 복구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수익이 필요한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손절은 하고싶어서 하는것이 아닙니다. 주식의 우
self-study-health.tistory.com
2024.02.19 - [경제] - ETF가 망하면 어떻게 될까? 증권사, 운용사가 파산한다면? 어떤 ETF를 사야할까
ETF가 망하면 어떻게 될까? 증권사, 운용사가 파산한다면? 어떤 ETF를 사야할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투자자 분들이 많이 궁금해 할 내용을 준비했습니다. 현재 투자중인 ETF가 망하거나(청산), 증권사, 운용사가 망하면 어떻게 될까요? 모든 주식이나 돈은 날아갈까요? 그렇
self-study-health.tistory.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CPI 발표가 미국 주식시장에 끼치는 영향 간단하게 알아보기 (17) | 2024.02.14 |
---|---|
[2024년 최신] 미국 주식, ETF의 과거 데이터 테스트 해보기 (포트폴리오 백테스팅 사이트 활용법) 초보자도 할 수 있다! (15) | 2024.02.10 |
[세후 월 500] 비근로소득으로 번다면 얼마가 필요할까? 부동산 투자, 배당금 투자로 확인해보기. 통계청 데이터로 확인하기 (일반 직장인 기준) (2) | 2024.02.05 |
2024 2월 JEPI, JEPQ 30% 떨어진 배당금 발표, 커버드콜 ETF 진짜 괜찮을까? (1) | 2024.02.01 |
비트코인 반감기, 최대수량 직접 눈으로 확인하기. 투자하는게 맞을까? 4년주기, 2100만개 확인하기. (1) | 2024.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