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조금 마음 쓰린 이야기입니다. 통계청에서 2023년 4분기 가계동향을 발표했습니다.
지난 분기에 비해 평균적으로 소득이 얼마나 올랐고, 평균 이상의 가구들은 돈을 어떻게 증식시키고 있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가구당 평균 소득은 502만원이다.
가구원수는 2.28인 기준입니다.
처음에는 아무리 그래도 너무 높은것이 아닌가? 생각했습니다. 모든 집이 맞벌이만 하는것도 아니고, 한명만 일하는 경우도 있을텐데, 과하다 싶었습니다. 하지만 결과를 보니 근로소득 외에 사업소득, 재산소득 등을 포함한 금액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봐야할것은 금액이 아닙니다. 바로 우측에 있는 + 입니다.
근로소득은 나와 옆집 뽀삐 모두 오르지 않는다.
근로소득 100만원, 1000만원에 관계 없이 모든 소득분위의 근로소득 상승률은 2%도 못미칩니다.
그에 비해 제일 눈에 띄는 영역은 재산소득 입니다.
다른 소득을 공략하자
사업소득은 뭐고, 재산 소득은 뭐야? 정의가 불분명 하다면 아래 사진을 참고해주세요.
항목을 보면 막막합니다. 여기서 내가 급여소득 외에 늘릴 수 있는게 뭐가 있을까?
몸을 갈아서 일 하는것도 한계가 있을텐데...
대부분은 직장인이면서 무주택이라 사업소득이나 주택의 임대소득으로 돈을 벌긴 어렵습니다. 실제로 통계에서도 큰 차이가 없는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눈에띄게 증가한 항목이 보이는데요. 바로 재산소득입니다. 물론 금액이 워낙 작았기에 %가 높게 나오는 것도 맞습니다. 하지만 절대값도 크게 올랐습니다.
지금 제 작은 월급으로는 사업소득은 불가능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저는 재산소득 중 배당소득의 영역을 늘리려고 합니다.
재산소득을 어떻게 올리는데?
재산소득에는 이자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자는 아시죠? 지난 글에서 다뤘듯 가만히 있어도 100%의 확률로 패배하는 게임입니다.
2024.03.21 - [경제] - 예금은 자고 일어나면 돈이 사라집니다. 투자를 "반드시" 해야하는 이유
예금은 자고 일어나면 돈이 사라집니다. 투자를 "반드시" 해야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오늘은 투자를 반드시 해야하는 이유에 대해서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개별 주식 추천은 "절대" 하지 않습니다. 단, 잘 알려져 있고 저 또한 따라하는 방법은 공유드릴 수 있습니다.
self-study-health.tistory.com
저는 배당주를 택하기로 했습니다. 은행, 통신, 식품 등 다양한 주식들이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저는 개별 종목에 대해 잘 모르기에 ETF를 통해서 투자하고 있습니다. SCHD를 통해서 분배금을 받고 있습니다. (광고 절대 아닙니다)
ETF를 처음 접하시는 분은 미국이라 좀 낯설 수 있는데요. 한국판 SCHD인 미국배당다우존스 ETF 같은 상품들이 있습니다.
물론 투자이기에 손실이 날 수도 있다는 리스크를 지고 합니다. 하지만 현재 투자한 포트폴리오나 과거의 기록으로 봤을때 예금보다는 도전해 볼만 하다는 마음으로 시도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수수료가 더 비쌉니다)
개별주식은 리스크가 크다
제가 ETF를 통해서 자연스럽게 분산투자를 하고, 꾸준히 예금보다 조금만 더 받자라고 생각하게 된 계기는 개별주식을 하다가 크게 데인적이 있기 때문입니다.
2024.03.10 - [경제] - [국내주식] 절대 이렇게 하지 마세요. 카카오 초고점매수 저점매도 손절 후기
[국내주식] 절대 이렇게 하지 마세요. 카카오 초고점매수 저점매도 손절 후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국내주식을 하지 않게된 제 경험을 하나 말씀드려볼까 합니다. 80만원 잃었습니다.. 라고 생각하고 싶습니다. 물을 타고 탄 가격이었습니다. 대기업은 절대 망하지 않는다는
self-study-health.tistory.com
따라서 처음 시작하시는 분들은 개별주식을 사는것 대신에 리스크가 개별주식에 비해 적은 ETF를 추천드립니다.
배당주도 좋고 시장지수를 추종하는 S&P 500 ETF도 좋습니다. 맘에 드시는 것을 선택하면 됩니다.
참고로 워렌버핏의 2013년 연례보고서에 써있는 유언장 내용 중 일부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산의 90%는 S&P 500 ETF에, 나머지는 미국 국채에 투자해라
즉 특정 종목을 고를 능력이 없다면 미국 전체를 소유하는 방식으로도 구매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근로소득은 안된다는 것을 알고, 그렇다고 주식은 모릅니다.
따라서 만원, 2만원 소액으로 한주씩 사면서 발을 담그는 연습을 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참고로 구매하실땐 수수료가 굉장히 중요하니 수수료를 비교한 글도 참고하시면 훨씬 나을것이라 생각합니다.
특정 주식이나 ETF 투자권유를 하는 글은 절대 아닙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4.03.26 - [정보] - [한국판 SCHD] 국내 미국배당 다우존스 ETF 완벽 비교 (수수료 함정 조심하세요)
[한국판 SCHD] 국내 미국배당 다우존스 ETF 완벽 비교 (수수료 함정 조심하세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국내에 상장되어 있는 한국판 SCHD라고도 불리는 미국배당 다우존스 ETF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실제로 보이는 수수료와 숨겨진 수수료의 차이가 꽤 큽니다. 결론부터 말
self-study-health.tistory.com
2024.03.22 - [정보] - 국내 S&P 500 ETF 완벽 비교 (수수료 함정 조심하세요) 최대 800만원 차이
국내 S&P 500 ETF 완벽 비교 (수수료 함정 조심하세요) 최대 800만원 차이
안녕하세요. 오늘은 국내에 상장되어 있는 S&P 500 ETF를 비교해보고 어떤것이 더 나은지 비교하겠습니다. 글을 쓰면서도 화가 많이 납니다. 저는 미국 직투를 하지만, 가족은 국내 ETF를 구매중에
self-study-health.tistory.com
[세후 월 500] 비근로소득으로 번다면 얼마가 필요할까? 부동산 투자, 배당금 투자로 확인해보기.
안녕하세요. 최근에 "돈의 속성" 이라는 책을 읽고 구체적으로 부자에 대해 생각해 볼 기회가 생겨 글을 씁니다. 금전적 정의에서 부자의 정의는 무엇일까요? 얼마가 있어야 할까요? 항상 상대
self-study-health.tistory.com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TSMC 실적발표 어디를 봐야할까? ASML의 어닝쇼크로 대비하기 (엔비디아, 반도체 ETF) (1) | 2024.04.18 |
---|---|
[한국판 QQQ] 나스닥 100 ETF 완벽정리 (H, TR 상품, 수수료 비교 포함) (2) | 2024.04.16 |
[한국판 리얼티인컴] KBSTAR 글로벌리얼티인컴 핵심만 확인하기 (장단점, 포트폴리오, 수수료) (19) | 2024.03.29 |
[한국판 SCHD] 국내 미국배당 다우존스 ETF 완벽 비교 (수수료 함정 조심하세요) (3) | 2024.03.26 |
국내 S&P 500 ETF 완벽 비교 (수수료 함정 조심하세요) 최대 800만원 차이 (18) | 2024.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