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최저임금 만원 시대] 2025년에도 200만원 받기는 어렵다. 최저임금 알아보기

by 경제 공부방 2024. 8. 31.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 공부방입니다.

 

오늘은 2025년 새롭게 결정된 최저임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최초로 만원을 돌파한 최저임금 입니다.

 

2025년 최저임금 최초 1만원 돌파 "10,030"원

 

고용노동부는 2024.08.05 (월) 2025년도 최저 임금을 시간급 10,030으로 최종 결정했습니다. (작년 대비 1.7% 인상)

 

이제 최저임금으로 급여를 받을 경우 월급은 다음과 같습니다

 

2,096,270 (세전, 1주 40시간 근무 기준) 

기본 근무시간 174시간 + 주휴시간 35시간 포함

  • 기본 월급 : 1,745,220 
  • 주휴 수당 : 351,050

210만원을 받는건가? 할 수 있지만 세후로 보면 아직도 많이 어렵습니다.

 

3.3% 세금 공제 할 경우 (소득세 공제)

  • 2,027,093 (세후)

 

9.4% 세금 공제 할 경우 (4대보험 공제)

  • 1,899,150 (세후)

 

최저임금은 1.7% 인상, 2023년 물가는 3.6% 인상

 

 

최저임금이 작년 대비 1.7% 올랐지만 2023년 기준 물가상승률은 3.6% 였습니다.

 

2024년 물가 상승률은 알 수 없지만 최저임금으로는 생활이 갈수록 어려워질 것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최저임금이 저소득 근로자들의 소득을 증가시켜 생활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반대로 자영업자의 인건비 상승으로 인해 근로자들의 근무 시간이 줄어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최초 만원이라는 숫자를 바라보는 것도 좋지만 그 뒤에 숨겨진 불편한 진실들이 씁쓸하게 만드는 것 같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같이 읽어보면 좋은 글

2024.08.26 - [정보] - 투자 수익률이 좋아도 1억 모으기가 어려운 이유 (feat. 저축률의 중요성)

 

투자 수익률이 좋아도 1억 모으기가 어려운 이유 (feat. 저축률의 중요성)

안녕하세요. 경제공부방 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돈을 모으겠다. 저축 해야겠다. 라고 생각했을 때 목표로 삼는 상징적인 금액들이 있습니다. 1000만원, 5000만원, 1억이 대표적인 예시인데요. 방

self-study-health.tistory.com

 

2024.03.20 - [경제] - 예금은 자고 일어나면 돈이 사라집니다. 투자를 "반드시" 해야하는 이유

 

예금은 자고 일어나면 돈이 사라집니다. 투자를 "반드시" 해야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오늘은 투자를 반드시 해야하는 이유에 대해서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개별 주식 추천은 "절대" 하지 않습니다. 단, 잘 알려져 있고 저 또한 따라하는 방법은 공유드릴 수 있습니다.

self-study-health.tistory.com

 

2024.03.29 - [정보] - 가구당 월 평균 소득은 얼마일까? 근로소득이 안오르면 어떻게 할까? 통계청 자료로 확인하기

 

가구당 월 평균 소득은 얼마일까? 근로소득이 안오르면 어떻게 할까? 통계청 자료로 확인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조금 마음 쓰린 이야기입니다. 통계청에서 2023년 4분기 가계동향을 발표했습니다. 지난 분기에 비해 평균적으로 소득이 얼마나 올랐고, 평균 이상의 가구들은 돈을 어떻게

self-study-health.tistory.com

반응형